맨위로가기

롬 해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롬 해킹은 비디오 게임의 ROM 파일을 수정하여 게임의 내용, 그래픽, 레벨 등을 변경하는 기술이다. 1990년대부터 시작되어 웹사이트, IRC 채널 등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발전해왔으며, ROMhacking.net과 같은 사이트가 해킹 자료 공유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16진수 편집, 그래픽 편집, 팔레트 편집, 레벨 편집, 데이터 편집, 어셈블리 해킹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며, 롬 확장을 통해 게임 콘텐츠를 추가하기도 한다. 완성된 해킹 게임은 비공식 패치 형태로 배포되며, 에뮬레이터나 실제 게임 기기를 통해 실행할 수 있다. 닌텐도 엔터테인먼트 시스템(NES)과 슈퍼 닌텐도 엔터테인먼트 시스템(SNES) 게임이 주로 해킹 대상이며, 소닉, 마리오, 포켓몬 등 인기 게임의 해킹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킹 - 스크립트 키디
    스크립트 키디는 숙련되지 않은 기술로 기존 도구와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을 악용하는 사람을 지칭하며, 주로 재미나 명성을 위해 웹사이트 훼손, 악성 바이러스 유포 등의 행위를 한다.
  • 해킹 - DNS 하이재킹
    DNS 하이재킹은 DNS 서버를 조작하여 사용자를 의도하지 않은 웹사이트로 연결시키는 행위로, 광고 표시, 통계 수집, 웹사이트 차단 등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DNS 소프트웨어 필터링이나 구글 공용 DNS 사용 등으로 대응하고 ICANN 또한 DNS 리디렉션 사용 자제를 권고한다.
롬 해킹
개요
유형비디오 게임 수정
목적게임 플레이 변경, 새로운 콘텐츠 추가, 접근성 향상
방법기계어 수정, 데이터 파일 변경, 코드 삽입
관련 활동번역 패치, 팬 게임 제작, 게임 치트 개발
기술적 측면
주요 기술역공학, 어셈블리어, 16진수 편집기, 디버거
데이터 형식 분석파일 포맷 분석, 압축 해제, 암호 해독
패치 제작IPS 패치, BPS 패치, UPS 패치
활용 분야
번역 패치비공식 한국어화, 해외 게임 현지화
게임 개선버그 수정, 밸런스 조정, 편의 기능 추가
새로운 콘텐츠새로운 캐릭터, 아이템, 레벨 추가
팬 게임 제작기존 게임 엔진 기반 창작 게임 제작
랜덤화게임 콘텐츠 무작위 배치
법적 문제
저작권 침해원작자의 허가 없는 수정 및 배포
이용 약관 위반게임 회사의 이용 약관에 따른 제재 가능성
관련 도구
16진수 편집기Hex Workshop, HxD
ROM 편집기Lunar Magic (슈퍼 마리오 월드), Tile Layer Pro
디버거FCEUX, VisualBoyAdvance
패치 제작 도구IPS Tool, BPS Tool, UPS Tool
용어
롬 (ROM)게임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
헥스 에디터 (Hex Editor)16진수 코드를 편집하는 도구
덤프 (Dump)롬 파일을 추출하는 과정
패치 (Patch)롬 파일에 적용하는 수정 사항
립 (Rip)게임 리소스를 추출하는 과정
에뮬레이터 (Emulator)다른 기종의 게임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RAM 해킹게임 실행 중 메모리 값을 변경하는 행위
기타
주의사항롬 해킹은 저작권 침해의 소지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함

2. 역사 및 커뮤니티

롬 해킹은 199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커뮤니티가 형성되었다. 여러 해킹 그룹은 1990년대 중후반에 쓰여진 NES용 "롬 해킹 바이블"(ROM Hack Bible영어)[3]과 같이 처음 롬 해킹을 시작하려는 사람들을 돕기 위한 가이드를 만들기도 했다. 2000년대 초, ROMhacking.com과 같은 롬 해킹 중심 사이트들이 등장하여 정보 공유와 자료 배포의 중심지가 되었다.[4]

2. 1. 온라인 커뮤니티

대부분의 롬 해킹 그룹은 웹사이트, 메시지 보드, IRC 채널 등을 통해 활동하며, 해킹 자료와 스크린샷을 공유한다. 여러 해킹 그룹은 1990년대 중후반에 쓰여진 NES용 "롬 해킹 바이블"(ROM Hack Bible영어)[3]과 같이 처음 롬 해킹을 시작하려는 사람들을 돕기 위한 가이드를 만들기도 했다.

2000년대 초, ROMhacking.com과 같은 롬 해킹 중심 사이트들이 등장하여 정보 공유와 자료 배포의 중심지가 되었다.[4] 2005년 말에는 ROMhacking.net이 개설되어 3세대부터 7세대까지의 게임 해킹, 번역, 유틸리티, 문서, 패치 등을 제공하며 2024년까지 롬 해킹 관련 자료를 제공하는 허브 역할을 수행하였다.[4]

ROMhacking.net은 2024년 8월 1일, 약 20년간의 호스팅을 마치고 롬 해킹 프로젝트에 대한 읽기 전용 뉴스 사이트로 전환되었다. 이전 데이터베이스와 파일은 인터넷 아카이브에 보관되었으며, 사이트의 새로운 제출도 영구 중단되었다.[5][6][7][8]

3. 방법

롬 해킹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 '''16진수 편집''': 16진수 편집기는 롬 해커에게 필수적인 도구 중 하나로, 텍스트 편집, 아이템 속성 등 구조가 알려진 데이터를 편집하거나, 어셈블리 해킹을 할 때 사용된다.
  • '''그래픽 편집''': 게임의 환경, 캐릭터, 글꼴 등 그래픽 요소를 변경하는 것이다. 주로 타일 에디터를 사용하여 작업한다.
  • '''팔레트 편집''': 게임 그래픽의 색상 값을 수정하여 분위기를 바꾸는 작업이다. 보통 16진수 값을 변경하여 수정한다.
  • '''레벨 편집''': 게임 레벨이나 맵을 수정하거나 재설계하는 것으로, 해당 게임 전용으로 만들어진 레벨 에디터를 사용한다.
  • '''데이터 편집''': 캐릭터, 아이템, 적의 속성 등 데이터를 수정하는 작업이다. 16진수 편집기나 게임별 편집기를 사용한다.
  • '''어셈블리 해킹''': 게임 코드를 직접 수정하는 가장 강력하고 어려운 해킹 방법이다. 에뮬레이터의 디버거, 트레이서, 디스어셈블러 등을 활용한다.
  • '''음악 해킹''': 게임 음악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음악을 추가하는 작업이다. 음악 데이터 저장 방식이 게임마다 다르고, 새로운 음악을 만들거나 가져오는 것이 어려워 자주 사용되지는 않는다.
  • '''롬 확장''': 롬 이미지 크기를 늘려 더 많은 콘텐츠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게임이 만들어진 시스템에 따라 난이도가 달라진다.

3. 1. 16진수 편집 (Hex Editing)

16진수 편집기는 롬 해커의 필수 도구 중 하나이다. 16진수 편집기는 일반적으로 텍스트 편집, 구조가 알려진 기타 데이터(예: 아이템 속성) 편집, 어셈블리 해킹에 사용된다.

텍스트 편집은 가장 기본적인 해킹 형태 중 하나이다. 많은 게임이 텍스트를 ASCII 형식으로 저장하지 않으므로, 특정 16진수 편집기는 어떤 바이트 값이 알파벳의 어떤 글자에 해당하는지 알려줄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이를 통해 텍스트 편집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바이트=문자 관계를 정의하는 파일을 "테이블" 파일이라고 한다. 다른 게임은 단순한 텍스트 압축 기술(예: 바이트 쌍 인코딩, 또는 DTE(dual tile encoding)라고도 함, 여기서 두 개 이상의 문자의 특정 조합이 하나의 바이트로 인코딩됨)을 사용하며, 적절한 16진수 편집기를 사용하면 편집을 쉽게 할 수 있다.

16진수 편집기는 이러한 데이터의 구조와 위치가 알려져 있고, 이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해당 게임 전용 편집기가 없는 경우 캐릭터/아이템 속성과 같은 것을 편집하는 데 적합한 도구이다. 일부 대담한 해커는 16진수 편집기로 레벨 편집도 수행하지만, 이는 매우 어렵다(레벨 저장 형식이 16진수 편집기에 표시되는 방식과 거의 유사한 게임 제외).

3. 2. 그래픽 편집 (Graphics Editing)

롬 해킹의 또 다른 기본적인 기술은 그래픽 해킹으로, 게임의 환경, 캐릭터, 글꼴 또는 기타 요소의 외형을 변경하는 것이다. 그래픽 데이터의 형식은 콘솔마다 다르지만, 초창기 콘솔(NES, 슈퍼 NES, 게임보이)의 대부분은 그래픽을 8x8 타일 형태로 저장한다. 이 타일들은 화면에 배열되어 원하는 결과를 생성하는 픽셀 단위의 데이터이다. 이러한 타일은 헥스 에디터로 편집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타일 에디터(예: [http://segaretro.org/Tile_Layer_Pro ''Tile Layer''] 또는 [https://github.com/toruzz/TileMolester ''Tile Molester''])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타일 에디터는 ROM 데이터를 그래픽으로 표시하고 타일을 찾고 편집할 수 있다.

그래픽 해킹은 간단한 편집(예: 마리오에게 아프로 머리를 해주거나 루이지에게 골프 클럽을 쥐어주는 것)에서 한 게임의 캐릭터를 다른 게임으로 "이식"하는 것(예: 1~5세대 포켓몬 게임에서 사용할 후세대 포켓몬의 픽셀화된 "레트로 스타일" 스프라이트 생성[9]), 또는 완전히 테마를 변경하는 것(일반적으로 팔레트 변경을 동반; 아래 참조)까지 다양하다.

더 정교한 그래픽 해킹은 타일과 색상뿐만 아니라 타일의 배열, 또는 타일 그룹의 생성 방식까지 변경하여 최종 외형에 대한 더 많은 유연성과 제어를 제공한다. 이는 헥스 편집 또는 특수 도구(특정 게임 또는 특정 시스템용)를 통해 수행된다.

그래픽 해킹의 예로는, 게임에 새로운 세대의 포켓몬과 타일을 추가하려는 포켓몬 파이어레드의 해킹 버전인 미완성작 ''Pokémon Torzach''[10]와, 오리지널 게임의 향상된 버전으로, 풀 컬러 지원(오리지널 게임은 흑백만 지원)과 오리지널 게임의 화면 깜빡임 문제를 수정하는 것과 같은 품질 향상을 추가한 ''Super Mario Land 2 DX: 6 Golden Coins''가 있다.[11]

3. 3. 팔레트 편집 (Palette Editing)

롬 해킹의 흔한 형태 중 하나는 "팔레트 해킹"으로, 게임 그래픽의 색상 값을 수정하여 분위기를 바꾸는 것이다. 이는 그래픽스 해킹과 함께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팔레트 값은 보통 16진수로 저장된다. NES 게임처럼 미리 정의된 색상 집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팔레트 해킹이 비교적 쉽다(YIQ 기반 색상 팔레트 사용). 이 경우 팔레트 해킹은 어떤 색상을 선택할지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슈퍼 NES 및 세가 메가 드라이브(제네시스) 등 다른 시스템의 게임은 절대 RGB 색상 값을 저장하므로 팔레트 해킹이 좀 더 복잡하다. 팔레트 편집기는 대개 간단하며, 레벨 편집기나 게임별 그래픽 편집기와 함께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3. 4. 레벨 편집 (Level Editing)

레벨 편집은 가장 인기 있는 롬 해킹 형태 중 하나로, 게임의 레벨이나 맵을 수정하거나 재설계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거의 모든 경우에 특정 게임에 맞게 특별히 제작된 에디터(레벨 에디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레벨 편집은 게임을 더 어렵게 만들거나, 게임의 줄거리 흐름을 변경하거나, 오래된 게임에 새로운 무언가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할 수 있다. 광범위한 그래픽 해킹과 결합하여 게임은 매우 다른 모습과 느낌을 가질 수 있다.

3. 5. 데이터 편집 (Data Editing)

많은 롬 해킹(특히 롤플레잉 게임)에서 핵심적인 부분은 캐릭터, 아이템, 적의 속성과 같은 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이다. 이는 데이터의 위치와 구조를 알고 있다면 16진수 편집기를 사용해 수동으로 수행하거나, 이러한 기능을 가진 게임별 편집기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커는 무기가 작동하는 방식, 적의 강함 또는 행동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게임을 더 쉽게 또는 더 어렵게 만들거나, 플레이어가 새로운 시나리오를 경험하도록 만들 수 있다.[1]

3. 6. 어셈블리 해킹 (Assembly Hacking)

가장 강력하고,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가장 어려운 해킹 기술은 게임의 실제 코드를 편집하는 것으로, "ASM 해킹"이라고 불린다. ("ASM"은 "어셈블리"를 의미하며, CPU가 실행하는 저수준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칭한다.) ASM 해킹에는 정해진 패턴이 없으며, 게임마다 코드가 크게 다르지만, 숙련된 ASM 해커는 대부분 에뮬레이터에 내장된 디버거 또는 트레이서를 사용하거나, ROM을 디스어셈블러를 통해 실행한 다음, 코드를 분석하고 헥스 에디터 또는 어셈블러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수정한다. 위에 나열된 비교적 간단한 방법에 비해 상당히 어렵지만, ASM 해킹을 사용하면 하드웨어 및 게임 플랫폼의 소프트웨어 제한 내에서 "무엇이든" 가능하다. 이는 적의 AI 변경부터 그래픽 생성 방식 변경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개발자가 타입 언어를 사용한 경우, 해커가 적절한 컴파일러에 접근할 수 있다면 게임용 코드를 동일한 언어로 컴파일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로는 닌텐도 64 게임을 해킹하기 위해 C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MIPS-GCC가 닌텐도 64용 코드를 컴파일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7. 음악 해킹 (Music Hacking)

게임의 음악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음악을 추가하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의 해킹에서 상대적으로 드문데, 게임이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양한 방식(따라서 이 데이터를 찾고 수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과 새로운 음악을 작곡(또는 다른 게임에서 음악을 포팅)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3] 음악 크래킹은 매우 드물기 때문에 많은 해킹에는 포팅/작곡된 음악이 추가되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 ''슈퍼 마리오 월드'' 해킹과 같이 원래 게임에서는 찾을 수 없는 새로운 악기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지정 음악이 있는 예외도 있다. 음악 해킹이 연구 및 해킹 커뮤니티의 일부인 다른 게임으로는 NES ''메가맨'' 게임, ''파이널 판타지 VI'', 그리고 세가 메가 드라이브(제네시스) ''소닉 더 헤지혹'' 게임이 있다.

많은 게임보이 어드밴스 게임은 음악에 M4A 엔진(비공식적으로 "Sappy Driver"라고 하며 공식적으로 "MusicPlayer2000" 또는 MP2k로 알려짐)을 사용하므로 SapTapp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게임보이 어드밴스 음악 데이터를 해킹할 수 있다. [https://web.archive.org/web/20160306150654/http://www.pokemonhackersonline.com/showthread.php?t=120-Wataru-Kun-s-Ultimate-Pok-mon-Music-Hacking-Guide Sappy 2006]과 같이 엔진과 함께 작동하도록 다양한 다른 유틸리티가 만들어졌다. 게임 간에 동일한 엔진이 사용되는 또 다른 예는 닌텐도 64에서 대부분의 게임이 동일한 형식을 사용하지만 각 게임마다 다른 사운드 뱅크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https://github.com/jombo23/N64-Tools/tree/master/N64MidiTool N64 Midi Tool]로 알려진 유틸리티는 대다수의 닌텐도 64 게임이 사용하는 시퀀스를 편집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슈퍼 마리오 64''와 같이 약간 다른 엔진을 사용하는 1st 파티 N64 타이틀은 다루지 않는다.

세가 메가 드라이브(제네시스)에서는 시스템용으로 제작된 여러 게임[14]이 일반적으로 "SMPS"(일부 개발자에게는 "Sound-Source"로도 알려짐)로 알려진 단일 사운드 엔진으로 음악과 사운드 효과를 생성했는데, 이는 68000 및 Z80 기반 버전으로 제공되었다.[15] 이 엔진은 시스템용으로 개발된 광범위한 일본 게임(세가의 1st 파티 게임 포함)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15] 일부 게임에서는 특정 게임에 맞게 조정된 사운드 엔진의 수정된 버전을 제공했다. 이 사운드 엔진은 수십 년 동안 많은 해커에 의해 연구되었으며,[16] SMPS 엔진을 사용하는 게임(특히 ''소닉 더 헤지혹'' 게임)에 대한 음악(및 사운드 효과)을 변경하고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를 만드는 데 기여했다.[17] SMPS 엔진으로 만들어진 많은 곡과 편곡은 결국 Steam Workshop에 등장했다.[18]

3. 8. 롬 확장 (ROM Expansion)

일반적으로 롬 해커는 게임에 콘텐츠를 '''추가'''할 수 없고, 기존 콘텐츠를 '''변경'''하는 것만 가능하다. 이 제한은 "롬 확장"을 통해 극복할 수 있는데, 롬 이미지의 전체 크기를 늘려 더 많은 콘텐츠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 더 큰 게임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하는 데 드는 어려움은 게임이 만들어진 시스템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게임에서 사용되는 맵퍼 때문에 NES 롬을 확장하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1] 예를 들어, 맵퍼가 16개의 롬 뱅크를 허용하고 그 모두가 사용되는 경우, 게임을 다른 맵퍼로 변환하지 않고는 롬을 더 확장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이는 쉬울 수도 있고 극도로 어려울 수도 있다. 반면에, SNES 게임(그리고 심지어 메가 드라이브(Genesis) 게임도)을 확장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간단하다.[1] 추가된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게임 코드의 일부를 수정하거나 다시 작성해야 한다(어셈블리 해킹 참조). 게임이 어디를 찾아야 하는지 알 수 있도록.[1] 또 다른 유형의 "롬 확장"은 게임보이 어드밴스 롬에서 비교적 쉽다.[1] 롬 자체는 일반적으로 작지만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은 최대 17배까지 초과하기도 한다.[1]

4. 배포

롬 해킹이 완료되면, 수정된 게임을 인터넷을 통해 배포하여 다른 사람들이 즐길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저작권이 있는 게임의 재배포는 불법이므로, 원본 게임에서 수정된 부분만 포함된 패치 파일을 배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1]

패치 파일 배포 및 스팀 워크샵 활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4. 1. 패치 파일 배포

저작권 문제를 피하기 위해, 수정된 롬 이미지 전체를 배포하는 대신, 원본 롬에 적용할 수 있는 패치 파일 형태로 배포한다. IPS, UPS, PPF, APS 등 다양한 패치 형식이 사용된다.[1]

IPS는 두 개의 바이너리 파일 간의 차이점을 기록하기 위한 형식으로, 롬 해킹에 적합하다.[19] IPS는 오늘날에도 작은 패치에 사용되지만, 롬이 커지면서 이 형식은 쓸모없게 되었고, NINJA 및 PPF ( "PlayStation 패치 형식"으로도 알려짐)와 같은 다양한 파일 형식이 생성되었다. PPF는 ISO CD-ROM 이미지와 닌텐도 64 게임과 같은 큰 파일을 패치하는 데 특히 오늘날에도 사용된다. 새로운 패치 형식인 UPS도 IPS 및 PPF의 후속 제품으로 설계되어 롬 해킹 커뮤니티에서 개발되었다.[20]

더 최근의 패치 형식인 APS 패치 시스템도 헌신적인 게임보이 어드밴스 롬 해커에 의해 개발되었다.[21] APS 시스템은 다른 패치 형식에 비해 공간 효율성이 높고, 되돌릴 수 있으며, 이전 시스템보다 빠르다.[22]

패치는 롬에서 변경된 내용만 기록하므로, 이를 배포하는 것은 원본 게임의 일부를 배포하는 것이 아니다. 패치는 일반적으로 게임에 대한 사용자가 만든 코드 변경 사항을 포함하며, 게임의 저작권이 있는 코드는 포함하지 않으므로 게임의 비공식 패치 배포 시 발생할 수 있는 저작권 문제를 제거한다. 패치는 일반적으로 전체 롬 이미지보다 훨씬 작다.

합법적인 배포의 새로운 예로 세가는 이전 메가 드라이브 (제네시스) 게임 모음을 위한 Steam 기반 가상 허브인 ''Sega Mega Drive Classics Hub''를 출시했다. 이 ''허브''는 플레이어가 이러한 이전 게임의 에뮬레이션된 버전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Steam의 Steam Workshop을 통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 지원을 활용하여 제공된 모든 게임의 롬 해킹 배포를 공식적으로 허용한다.[23]

4. 2. 스팀 워크샵 활용 (Steam Workshop)

세가메가 드라이브 (제네시스) 게임 모음을 위한 Steam 기반 가상 허브인 ''Sega Mega Drive Classics Hub''를 출시했다. 이 ''허브''는 플레이어가 이전 게임들의 에뮬레이션된 버전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스팀 워크샵을 통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 지원을 활용하여 제공된 모든 게임의 롬 해킹 배포를 공식적으로 허용한다.[23]

5. 사용

롬 해킹은 주로 콘솔 에뮬레이터를 통해 실행되지만, 실제 게임 기기에서도 실행할 수 있다.[24] 원본 하드웨어에서 패치된 롬을 실행하려면, 초기 롬이 추출된 원본 카트리지나 플래시 카트리지 같은 호환 카트리지가 필요하다. 이는 팬 번역, 홈브루 게임, 프로토타입, ROM 카트리지가 생산되지 않은 게임, 또는 에뮬레이터에서 사용할 수 없는 정확한 타이밍 등 원본 하드웨어 요소가 필요한 게임에 널리 사용된다.

5. 1. 에뮬레이터 사용

해킹 게임은 주로 콘솔 에뮬레이터를 사용해 실행하지만, 실제 장치에서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24] 패치된 ROM은 종종 에뮬레이터에서 실행되지만, 원본 하드웨어에서도 패치된 ROM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24] 대상 카트리지는 초기 패치되지 않은 ROM이 추출된 원본 카트리지(일반적으로 원본 ROM 칩을 새 칩으로 교체하는 것을 포함)이거나, 플래시 카트리지와 같이 동일한 유형의 다른 호환 카트리지일 수 있다. 이는 특히 팬 번역, 홈브루 게임, 프로토타입, ROM 카트리지가 생산되지 않은 게임, 또는 에뮬레이터에서 사용할 수 없는 정확한 타이밍이나 기타 원본 하드웨어 요소를 요구하는 게임에 널리 사용된다.

5. 2. 실제 기기 사용

해킹 게임은 주로 콘솔 에뮬레이터를 사용해 실행하지만, 실제 기기에서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패치된 ROM은 종종 에뮬레이터에서 실행되지만, 원본 하드웨어에서도 패치된 ROM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24] 대상 카트리지는 초기 패치되지 않은 ROM이 추출된 원본 카트리지이거나(일반적으로 원본 ROM 칩을 새 칩으로 교체하는 것을 포함), 플래시 카트리지와 같이 동일한 유형의 다른 호환 카트리지일 수 있다. 이는 특히 팬 번역, 홈브루 게임, 프로토타입, ROM 카트리지가 생산되지 않은 게임, 또는 에뮬레이터에서 사용할 수 없는 정확한 타이밍이나 기타 원본 하드웨어 요소를 요구하는 게임에 널리 사용된다.

6. 대상 시스템 및 게임

롬 해킹은 다양한 시스템과 게임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고전 게임기에서 롬 해킹이 많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최신 게임기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여 수정하기 쉬웠기 때문이다.

주목할 만한 해킹된 아케이드 게임으로는 게임 속도와 새로운 특수 기술이 향상된 ''스트리트 파이터 II: 레인보우 에디션''이 있다. 이 게임의 성공에 힘입어 캡콤은 공식 대응으로 ''스트리트 파이터 II: 하이퍼 파이팅''을 출시했다.[25]

''Your Sinclair'' 잡지는 "프로그램 핏스탑"이라는 월간 칼럼을 통해 게임의 치트 해킹을 주로 다루었으며, ''건틀렛''의 레벨 맵 프린터[25]와 레벨 편집기[26]를 소개하기도 했다.

6. 1. 인기 시스템

NES 및 SNES 게임(일부 세가 메가 드라이브 (제네시스) 게임 포함)에서 대부분의 롬 해킹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게임들은 닌텐도 64닌텐도 DS와 같은 더 발전된 콘솔 게임에 비해 작고 단순하기 때문이다. 게임 보이, 게임 보이 컬러 및 게임 보이 어드밴스 게임도 해킹에 인기가 있으며, 플레이스테이션 게임도 어느 정도 인기가 있다. 하지만 최신 콘솔용 게임도 해킹에서 예외는 아니며, 컴퓨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빨라지고 더 많은 프로그램과 유틸리티가 작성되면서 더 많은 플레이스테이션, 닌텐도 64 및 닌텐도 DS 해킹이 등장하고 있다.

6. 2. 인기 게임

NES 및 SNES 게임(일부 세가 메가 드라이브 (제네시스) 게임 포함)에서 많은 롬 해킹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게임들은 닌텐도 64닌텐도 DS와 같은 콘솔 게임에 비해 작고 단순하기 때문이다. 게임 보이, 게임 보이 컬러 및 게임 보이 어드밴스 게임도 해킹에 인기가 있으며, 플레이스테이션 게임도 어느 정도 인기가 있다.

이 중 인기 있는 게임은 다음과 같다.

주목할 만한 해킹된 아케이드 게임으로는 게임 속도와 새로운 특수 기술이 향상된 ''스트리트 파이터 II: 레인보우 에디션''이 있다. 이 게임의 성공으로 캡콤은 공식 대응으로 ''스트리트 파이터 II: 하이퍼 파이팅''을 출시했다.

6. 3. 아케이드 게임

스트리트 파이터 II: 레인보우 에디션과 같은 아케이드 게임 롬 해킹도 주목할 만하다. 이 게임은 게임 속도와 새로운 특수 기술이 향상되어 인기를 얻었으며, 이에 캡콤은 공식적으로 스트리트 파이터 II: 하이퍼 파이팅을 출시하게 되었다.[25]

참조

[1] 웹사이트 Dictionary of ROM hacking terms http://www.romhackin[...]
[2] 웹사이트 The BIG List of Video Game Randomizers https://www.debigare[...] 2020-07-10
[3] 웹사이트 NES - Rom Hacking Bible - NES - By SeRiAlKLR - GameFAQs https://gamefaqs.gam[...] 2024-08-05
[4] 웹사이트 The Legacy - ROMhacking.com/ROMhacking.org https://www.romhacki[...] 2024-08-27
[5] 뉴스 Founder takes down the Nexus Mods of romhacking after 20 years because 'lines were crossed' by 'a most dishonest and hate filled group,' but others tell a different story https://www.pcgamer.[...] 2024-08-02
[6] 뉴스 20-year-old romhack site that was a treasure trove of Pokemon fan games and JRPG translations winds down after achieving "almost everything it set out to do" https://www.gamesrad[...] 2024-08-02
[7] 웹사이트 The best ROM hack website is shutting down after nearly 20 years https://www.polygon.[...] 2024-08-02
[8] 웹사이트 Site: ROMhacking.net Moves to News Only, Database and File Archive Released to Internet Archive https://www.romhacki[...] 2024-08-27
[9] 웹사이트 Pokemon Rom Hacks List: GBC, GBC & NDS - PokemonCoders https://www.pokemonc[...] 2023-03-08
[10] 웹사이트 Pokemon FireRed ROM Hacks https://www.pokemonc[...] 2019-03-11
[11] 웹사이트 A Christmas gift from Game Boy ROM hackers: ''Super Mario Land 2'' in color https://arstechnica.[...] 2023-02-18
[12] 웹사이트 vg64tools - Project Hosting on Google Code https://code.google.[...] 2009-09-09
[13] 웹사이트 Super Mario 64: Pong Of Death (messiaen) http://sites.google.[...] 2009-09-09
[14] 웹사이트 Mega Drive/Genesis Sound Driver List https://vgmpf.com/Wi[...]
[15] 웹사이트 SMPS http://segaretro.org[...]
[16] 웹사이트 Valley Bell's SMPS Research http://forums.sonicr[...] 2013-12-31
[17] 웹사이트 Sonic Hacking Utilities http://info.sonicret[...]
[18] 웹사이트 Steam Workshop :: SEGA Mega Drive & Genesis Classics http://steamcommunit[...]
[19] 웹사이트 Pokemon Rom Hacks https://www.inverseg[...] 2021-03-31
[20] 웹사이트 New patching format, UPS, debuts today http://www.romhackin[...] 2023-09-27
[21] 웹사이트 The PokéCommunity Forums - View Profile: HackMew http://www.pokecommu[...] 2006-06-27
[22] 웹사이트 Newest patching format, APS, recently released http://www.pokecommu[...] 2007-05-20
[23] 웹사이트 Modders are already having fun with Sega Mega Drive classics on Steam http://www.eurogamer[...] 2016-05-03
[24] 웹사이트 Basic NES Reproduction http://callanbrown.c[...]
[25] 웹사이트 World of Spectrum - Forced Redirect http://www.worldofsp[...]
[26] 웹사이트 World of Spectrum - Forced Redirect http://www.worldofs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